본문 바로가기
블로그팁

애드센스 W-8BEN 작성 방법

by Healthy247 2024. 8. 16.

애드센스 수익 첫 출금 액수 $100을 받기 위해서는 미국 세금 관련 서류 W-8 BEN을 제출해야 한다. 캐나다나 한국처럼 미국이 아닌 곳에서 활동하는 블로거가 W-8BEN 서류를 작성하는 방법을 간단히 공유해 본다. 

 

애드센스 W-8BEN

본인의 애드센스 수익이 100불에 가까워지면 애드센스에서 세금 정보를 입력하라고 알려준다. 처음엔 이게 뭔가 하고 낯설고 어려워 보였지만 한 번 제출하고 나니 별 거 아니었다. 그냥 정보 몇 가지 입력하고 제출하면 끝. 

한 번 제출하면 3년 후 12월 31일까지 유효하고 미국과 조세 조약을 맺은 국가에 거주한다면 미국 세금 면제나 미국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블로거 W-8BEN 작성 방법

나와 같은 일반 개인 블로거이고 미국 거주자가 아니라면 세금 정보 추가란에서 미국 거주자가 아니다, 법인이나 단체가 아니라 개인이라는 것을 선택하고 W-8 BEN을 작성하면 된다. 이름, 주소, 국가 등의 정보를 기입하는 것은 쉬운 부분이고, 그 다음이 중요하다. 

 

납세자 식별 번호 외국인 TIN

외국인 TIN이 헷갈리는 부분인데 캐나다 거주자인 경우 거기에 본인의 SIN 번호를 넣으면 된다. 한국인이라면 외국인 TIN에 사업자 등록 번호를 입력하면 되고 없다면 비워두어도 된다. 외국인 TIN에 주민등록번호를 넣어서는 안 된다. US ITIN 혹은 SSN 부분은 비워두어도 된다.  

만약 사업자 등록 번호가 없는데 외국인 TIN을 얻고 싶다면 미국 국세청에 외국인 TIN 신청서를 작성해 제출해야 한다. 약 11주 정도 시간이 걸린다고 한다. 

 

조세 조약

조세 조약에 따라 인하된 원천 징수 세율을 신청하시나요?라는 질문이 나온다. 외국인 TIN에 캐나다 SIN 번호나 사업자 등록 번호를 입력한 사람이라면 YES를 선택하면 된다. 

원래 미국에서 세금을 30% 까지 떼어 갈 수도 있는데 여기서 '예'를 선택하면 미국에서는 세금을 떼지 않거나 조금만 떼겠다는 뜻이다. 미국과 조세 조약을 맺은 국가의 거주자에 한해서. 

 

*캐나다의 경우. part 2 부분에서 Special rates and conditions는 0%, Explain the additional conditions in the Article the beneficial owner meets to be eligible for the rate of withholding:는 royalties라고 기입.

 

W-8BEN 제출

그다음은 본인이 작성한 내용이 다 사실에 근거해 있다는 점을 체크하고 제출하면 된다. 제출하고 나면 세금 정보 관리에서 W-8 BEN 양식 '검토 중'으로 나오고 시간이 지나면 '승인됨'으로 바뀐다. 

 

애드센스 세금 정보

나는 세금 전문가가 아니라 W-8 BEN을 작성한 방법을 초보자인 내 수준에서 아주 간단하게만 설명했다. 작은 블로그를 운영하는 개인 블로거라면 애드센스 수익 지급을 위한 용도로 이 정도만 작성해서 제출해도 큰 무리는 없을 것 같고 더 자세한 점은 전문가, 세무사에게 문의하는 것을 추천한다.

 

 

*관련글 보러 가기

애드센스 수익 계산 방식 변화에 대처하는 방법

 

애드센스 수익이 구글 유입에 미치는 영향

 

애드센스 광고 노출수 급감한 이유와 해결방법

 

애드센스 수익 현실 후기 첫 100불 지급

댓글